나카무라 고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카무라 고타로는 이시카와현 출신의 일본 육군 군인으로, 육군대신, 조선군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육군사관학교와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참모본부에서 근무하며 스웨덴 무관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중일 전쟁 시기에는 중국 주둔군 사령관을 지냈으며, 1937년 잠시 육군대신을 역임했다. 이후 동부방면군 사령관, 조선군 사령관을 거쳐 최고전쟁회의 위원을 지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인 194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나자와 이즈미가오카 고등학교 동문 - 나가이 류타로
나가이 류타로는 1881년 이시카와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 교수, 중의원 의원, 여러 대신을 역임하고 대정익찬회에서 활동하며 아시아 민족 해방을 주장하다 1944년에 사망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 가나자와 이즈미가오카 고등학교 동문 - 핫타 요이치
핫타 요이치는 일본의 토목공학 기사이자 타이완 총독부 관리로, 타이완 총독부 기술관으로 근무하며 자난 평야 관개 사업의 일환인 우산터우 댐 건설을 주도하여 타이완 농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고, 그의 업적은 타이완에서 높이 평가받아 기리는 사업이 이어지고 있다. - 일본의 육군대신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육군대신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일본의 정치인 목록 - 도조 히데키
도조 히데키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육군 대신, 참모총장,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진주만 공격을 명령하여 태평양 전쟁을 일으켰고, 전범으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 일본의 정치인 목록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나카무라 고타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고타로 나카무라 |
원어 이름 | 中村 孝太郎 |
로마자 표기 | Nakamura Kōtarō |
출생일 | 1881년 8월 28일 |
사망일 | 1947년 8월 29일 |
출생지 | 이시카와현, 일본 |
군사 경력 | |
소속 | 대일본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901년–1943년 |
최종 계급 | 대장 |
지휘 | 일본 지나 주둔군 일본 조선군 |
관직 | |
직위 | 일본 제국 육군대신 |
임기 시작 | 1937년 2월 2일 |
임기 종료 | 1937년 2월 9일 |
국왕 | 쇼와 |
총리 | 하야시 센주로 |
이전 | 데라우치 히사이치 |
다음 | 스기야마 하지메 |
2. 생애
나카무라 고타로는 이시카와현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육군 예비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01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1909년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그의 동기생으로는 테라우치 히사이치와 우메즈 요시지로가 있었다.[1]
나카무라는 주로 일본육군참모본부 내에서 행정 및 참모직을 역임했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 스웨덴에 무관으로 파견되었고,[1] 1922년부터 1923년까지 제67보병연대장을, 1923년부터 1927년까지 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1927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39보병여단장을 지냈고, 1929년부터 1930년까지 조선에서 조선군 참모장을 역임했다.[1]
1930년부터 1932년까지 참모본부 인사국장을 역임했고, 1932년 중국주둔일본군 사령관으로 현장에 복귀한 직후 중장으로 진급했다. 1934년 제8군 사령관, 1935년 군사훈련 감찰총감의 차석을 역임했다.
1937년 2월 2일부터 7일까지 하야시 센주로 내각에서 육군대신으로 짧게 재임했다. 이후 동부방면군 사령관, 1938년 대장으로 진급, 1938년부터 1941년까지 조선군 사령관을 지냈다.
1941년부터 1943년 건강 악화로 은퇴할 때까지 최고전쟁회의 위원을 역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인 1947년 8월 29일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나카무라 고타로는 이시카와현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육군 예비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01년 제13기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09년 제21기 육군대학교를 졸업했다. 그의 동기생으로는 테라우치 히사이치와 우메즈 요시지로가 있었다.[1]1902년 6월 23일 보병소위로 임관하여, 후쿠이현사바에시 주둔 보병 제36연대(일본 제9사단 보병 제18여단 소속)에 배속되었다. 1904년 일러전쟁에 참전하여 제9사단 대대 부관으로 출정했으며, 같은 해 8월 2일 보병중위로 진급했다.
1906년 육군중앙소년학교 학생대 중대장을 거쳐 육군대학교에 입학, 1908년 1월 29일 보병대위로 진급했다. 1909년 12월 3일 육군대학교 21기를 졸업하고, 1910년 1월 17일 가나자와 명가 센다 도후미 예비역 소좌(보병 제7연대 초대 기수)의 삼녀 유키코와 결혼했다.
나카무라는 대부분의 경력을 일본육군참모본부 내 행정 및 참모직으로 보냈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 스웨덴 무관으로 파견되었고,[1] 중좌 진급 후 1922년부터 1923년까지 제67보병연대장을 역임했다. 1923년부터 1927년까지는 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1927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39보병여단장을 지냈고, 1929년부터 1930년까지 조선에서 조선군 참모장을 역임했다.[1]
다음은 나카무라 고타로의 초기 생애 및 군 경력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사건 |
---|---|
1900년 5월 | 육군중앙소년학교 졸업 |
1901년 11월 | 육군사관학교 13기 졸업 |
1902년 6월 | 육군 소위 임관, 보병 제36연대 배속 |
1904년 8월 | 육군 중위 진급 |
1904년 10월 | 보병 제36연대 대대 부관 |
1904년 12월 | 보병 제18여단 부관 |
1905년 11월 | 육군중앙소년학교 학생대 중대장 |
1908년 1월 | 육군 대위 진급 |
1909년 12월 | 육군대학교 21기 졸업 |
1910년 12월 | 참모본부 근무 |
1911년 3월 | 참모본부원 |
1914년 8월 | 제1사단 병참참모 |
1915년 8월 | 육군 소좌, 참모본부원 |
1916년 5월 | 참모본부 부속 |
1916년 8월 | 보병 제35연대 대대장 |
1917년 5월 | 참모본부원 |
1919년 7월 | 육군 중좌 |
1919년 8월 | 보병 제32연대 배속 |
1920년 9월 | 스웨덴 공사관 주재무관 |
1921년 4월 | 참모본부 서무과 고급과원 |
1922년 8월 | 육군 대좌, 보병 제67연대장 |
1923년 8월 | 육군성 고급부관 |
1927년 7월 | 육군 소장, 보병 제39여단장 |
1929년 8월 | 조선군 참모장 |
2. 2. 참모본부 근무 및 해외 파견
나카무라 고타로는 일본육군사관학교 제13기를 졸업하고, 육군대학교 제21기를 졸업했다. 그의 동기로는 테라우치 히사이치와 우메즈 요시지로가 있었다. 나카무라는 경력의 대부분을 일본육군참모본부에서 행정 및 참모직을 맡았다. 1920년부터 1921년까지는 스웨덴에 무관으로 파견되었다.[1]1922년부터 1923년까지 제67보병연대장을 맡았고, 1923년부터 1927년까지 참모본부에서 근무했다. 1927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39보병여단장을 지냈으며, 1929년부터 1930년까지 조선에서 조선군 참모장을 역임했다.[1] 1930년부터 1932년까지 참모본부 인사국장을 역임했고, 1932년 중국주둔일본군 사령관으로 현장에 복귀한 후 곧 중장으로 진급했다.
2. 3. 고위 장교로의 승진
나카무라 고타로는 1927년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39보병여단장을 지냈다.[1] 1929년부터 1930년까지는 조선에서 조선군의 참모장을 역임했다.[1]1930년부터 1932년까지 참모본부 인사국장을 역임한 후, 1932년 중국주둔일본군 사령관으로 현장에 복귀했고, 그 직후 중장으로 진급했다. 1934년에는 제8군 사령관이 되었으며, 1935년 12월 도쿄로 소환되어 군사훈련 감찰총감의 차석을 역임했다.
1937년 2월 2일부터 7일까지 하야시 센주로 내각에서 육군대신으로 7일간 짧은 기간 동안 재임했다. 당시 장티푸스로 진단받아 사임하였다는 설과, 가족 중에 결핵 환자가 있어 참의가 많은 대신의 직을 꺼렸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지만, 당시 결핵 환자가 가족 중에 없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의문시되고 있다. 그의 육군대신 재임 기간은 전임 육군대신으로서는 최단 기록이다.
1938년에는 정규 대장으로 진급했고, 같은 해부터 1941년까지 조선군 사령관을 지내면서 장고봉 사건의 처리에 임했다.
다음은 나카무라 고타로의 주요 진급 내용이다.
2. 4. 육군대신 취임과 사임
1937년 2월 2일부터 7일까지 나카무라는 하야시 센주로 총리대신 정권 하에서 짧은 기간 동안 육군대신으로 재임했다.[1] 그 후 동부방면군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1938년에는 대장으로 진급했다.2. 5. 조선군 사령관 및 대장 승진
나카무라 고타로는 1929년(쇼와 4년) 8월부터 1930년(쇼와 5년)까지 조선에서 조선군의 참모장을 역임했다.[1] 1938년(쇼와 13년)에는 대장으로 진급했고, 같은 해 7월부터 1941년(쇼와 16년)까지 조선군 사령관을 지냈다. 조선군 사령관 재직 시 장고봉 사건의 처리에 임했다.2. 6. 말년
1941년부터 1943년 건강 악화로 은퇴할 때까지 나카무라는 최고전쟁회의 위원을 역임했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인 1947년 8월 29일에 사망했다.3. 연보
연도 | 사건 |
---|---|
1900년 5월 | 육군중앙소년학교 졸업 |
1901년 11월 | 육군사관학교 졸업 |
1902년 6월 | 육군 소위, 보병 제36연대 배속 |
1904년 8월 | 육군 중위 |
1904년 10월 | 보병 제36연대 대대 부관 |
1904년 12월 | 보병 제18여단 부관 |
1905년 11월 | 육군중앙소년학교 학생대 중대장 |
1908년 1월 | 육군 대위 |
1909년 12월 | 육군대학교 졸업 |
1910년 12월 | 참모본부 근무 |
1911년 3월 | 참모본부원 |
1914년 8월 | 제1사단 병참참모 |
1915년 8월 | 육군 소좌, 참모본부원 |
1916년 5월 | 참모본부 부속 |
1916년 8월 | 보병 제35연대 대대장 |
1917년 5월 | 참모본부원 |
1919년 7월 | 육군 중좌 |
1919년 8월 | 보병 제32연대 배속 |
1920년 9월 | 스웨덴 공사관 주재무관 |
1921년 4월 | 참모본부 서무과 고급과원 |
1922년 8월 | 육군 대좌, 보병 제67연대장 |
1923년 8월 | 육군성 고급부관 |
1927년 7월 | 육군 소장, 보병 제39여단장 |
1929년 8월 | 조선군 참모장 |
1930년 5월 | 육군성 인사국장 |
1932년 2월 | 중국 주둔군 사령관 |
1932년 4월 | 육군 중장 |
1934년 3월 | 제8사단장 |
1935년 12월 | 교육총감부 본부장 |
1937년 2월 | 육군대신 |
1937년 2월 | 참모본부 부속 |
1937년 3월 | 군사참의관 |
1937년 8월 | 동부방위사령관 |
1938년 6월 | 육군 대장 |
1938년 7월 | 조선군 사령관 |
1941년 7월 | 군사참의관 |
1941년 12월 | 동부군 사령관 |
1943년 5월 | 예비역 |
1945년 5월 | 군사보호원 총재 |
1945년 8월 15일 | 종전 |
1947년 8월 29일 | 사망 |
4. 영전
참조
[1]
서적
The Generals of World War II
[2]
서적
秩父宮 昭和天皇弟宮の生涯
中公文庫
[3]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08-04-11
[4]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2-09-12
[5]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27-11-14
[6]
간행물
叙任及辞令
官報
1934-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